한국전력기술교육원 홈페이지
https://edu.kea.kr/sub_educourse/schedule.php
가공배전 교육: 배전 선로의 가공전선로 및 변압기 설치 작업에 종사하는 전문기능인력을 양성하기 위한 현장위주의 이론 및 실습교육
지중배전 교육: 배전선로의 지중전선로(케이블) 설치작업에 종사하는 전문기능인력 양성을 위해 케이블 접속법, 기기조작 및 구조, 지중설비 유지보수에 필요한 이론 및 실습 교육
한국전력공사 현직자 블로그
https://blog.naver.com/sline1663/222149538272?trackingCode=rss
1.송전: 송전탑(철탑)과 관련된 업무를 함, 변전은 변전소만 관리하지만 송전은 송전탑이 있는 모든 곳을 관리하므로 관리 범위가 넓음, 여름철 낙뢰가 발생하면 낙뢰지점을 받고 이상유무를 확인하러 나가기도 함
2.변전운영 및 변전정비
순회진단팀: 무인변전소를 운영 및 관리함, 154kV 변전소는 대부분 무인화됨, GIS가스의 압력과 과열개소를 측정하는 등 변전설비의 이상유무를 파악함
유인변전소: 주로 345kV 이상의 유인변전소에서 근무함, 아무래도 고압 변전소고 계통에서 줄기 역할을 하기 때문에 설비의 규모도 크고, 근무자를 상시배치해서 이상 발생 시 즉각적인 조치를 할 수 있게 함
변전정비: 말그대로 무인변전소/유인변전소의 설비를 정비함, 변압기를 관리 관찰함, 차단기는 매년 투입개방시험을 하고, 3년마다 보통점검, 6년마다 정밀점검을 시행함, 정밀점검 시에는 변압기의 기름까지 다 빼고 감독이 직접 차단기 안에 들어가서 이상유무를 파악함
3.배전운영 및 배전보수
배전운영: 전주를 유지보수함, 전주가 고장 나면 출동해서 협력업체와 함께 수리함, 버켓트럭이 여기서 사용됨
배전보수: 지장전주(말그대로 지장을 주는 전주)를 이설함, 도로를 새로 깔거나 집을 새로 지을 때 지장을 주는 전주가 있으면 이설과 관련된 업무를 함
* 배전과 송변전의 책임분계지점은 154변전소 2차측 D/L(Distribution Line)의 개폐기부터 입니다. 전력공급 선로를 변경하는 역할을 하는데요. 여기서부터 배전의 책임입니다. 그 위로는 송변전의 관할이죠.
한국전력공사 배전운영처 유튜브
https://www.youtube.com/watch?v=pewBtFZjatE
전선 지중화 나무위키
https://namu.wiki/w/%EC%A0%84%EC%84%A0%20%EC%A7%80%EC%A4%91%ED%99%94
지중화(地中化, undergrounding)
현재 전국 평균 송전선로 지중화율은 약 20.9%, 배전선로 지중화율은 약 22%다.
지중화 사업은 지방자치단체와 한국전력공사가 공사비를 절반씩 부담해야하는데,
문제는 수도권과 비수도권의 지중화율이 크게 차이가 나는 것이다. 재정 상황이 열악한 지방자치단체는 지중화 사업을 진행할 여건이 안 되기 때문이다.
송·변전선로 지중화율은 2020년 8월 기준으로 서울특별시가 89.6%, 인천광역시가 72.8%이고, 나머지 지역은 모두 50%가 되지 않는다. 특히 경상북도와 충청남도는 1.3%로 지중화율이 전국에서 최하위다.
최근에는 도심지의 22.9kV 전봇대 배전선로 지중화는 흔하지만, 154kV 이상의 전압을 가진 송전로를 지중화하는 것은 비용 때문에 드물다.* 그래도 웬만한 대도시면 154kV 송전선로는 대부분 지중매설이 되어 있다. 특히 서울은 외곽 지역과 한강 횡단 구간만 빼면 대부분이 지중화되어 있다. 위험한 특성상 30m씩 깊이 파서 시공한다.
* 보통의 가공송전선로는 철제구조물인 철탑과 지지애자, 피복없는 알루미늄 전선으로 구성되어 있다. 상당히 저렴한 편. 그러나 지중선로는 땅을 파는 작업이 이뤄짐과 동시에 두꺼운 피복을 지닌 값비싼 특수전선, 지중선로터널의 화재를 감지하는 감지기와 화재진압시설이 설치되므로 단가가 높아진다. 경기도 성남시 오리역 부근은 원래 동서울변전소-신성남변전소2회선, 충청남도 당진화력발전소에서 생산된 765kV 전력이 765kV 신안성변전소를 거쳐 신성남변전소로 오는 2회선 등 총 345kV 4회선 송전탑이 가공송전로로 설치되었으나 몇 년 전 지중화되었다. 지중공사구간에 지하철과 상수도관이 깔려있어 한국에서 가장 깊은 약 80m 깊이로 설치됐다. 고층건물 20층 높이로 2.5km 구간 공사비만 1200억원이 발생했다고 한다. 이것만 보면 고압송전탑이 아직까지 존재하는 이유가 설명된다.
한국전력공사 페이스북
길가다가 전봇대랑 전선은 안 보이고, 대신 인도에 한국전력공사라는 이름이 달려 있는 커다란 철제 박스만 보인다면 100% 지중화된 곳이다. 그 네모 박스는 PAD 변압기(Utility box, Pad-mounted transformer)이다. 혹은 개폐기이거나. 전봇대에 매달려있는 주상변압기의 먼 사촌격으로 22900V의 배전압을 220V, 380V로 가정에서 사용할 수 있게 강압해주는 기능을 한다. 참고로 PAD 변압기는 고압 전기시설이므로 일반인이 무단으로 개방 또는 분해할 수 없도록 개방시 특수한 렌치를 사용해야 한다.
극한직업 도심 지중화 작업 영상
https://www.youtube.com/watch?v=D1LDDR-77FY
지하 전력구에 설치하는 공사를 하고 있습니다
전기가 통하지 않게 절연지로 겉을 감싸 감전의 위험은 없지만
케이블 1m당 30kg에 육박하는 무게이다 보니 어깨에 잠깐 얹어놓기만 해도 그 하중은 실로 엄청나다
앞으로 변전소에 join(연결)을 해야죠
온도에 따라 케이블이 수축, 팽창할 때 공간을 확보해주기 위해 스네이크 공법으로 설치함
원통 모양의 굴착 헤드가 바위를 갈라내면서 전력구를 뚫는 방식
머리에 달린 공업용 다이아몬드가 바위를 갈아내고
컨베이어벨트를 통해 갈아낸 바위 조각을 다시 밖으로 내보내는 방식
광차(광석, 석탄, 폐석 등을 운반할 때 사용하는 차량)는 들여보내고
2차 컨베이어에서 떨어지는 토사를 받아서 계속 굴진을 함
벨트는 지금 다 쌓여있는데 안에 드럼 부위가 고장이 나서 교체하고 있습니다
크게 힘든 부분은 아무래도 기계가 섰을 때가 가장 힘들죠
'공기업 > (전력) 한국전력, 한전기 등' 카테고리의 다른 글
용인 반도체 클러스터 집단에너지 사업 (SK E&S, 중부발전) (0) | 2024.11.27 |
---|---|
한국전력기술, 한국수력원자력, 산업통상자원부 (1) | 2024.10.19 |